본문 바로가기
마음 나누기

우울증이란 무엇일까?

by JJAM-i 2022. 7. 6.
반응형

1. 들어가기전

 본 내용은 제가 직접 쓴 논문에서 발취한 내용들입니다. 무단으로 복제하시거나 사용하시면 안 됨을 미리 이야기해 드립니다. 우울증은 너무나 익숙해서 져서 그런지 요즘은 눈여겨보지 않고 있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어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제 스스로도 한 번 더 내용을 읽어보고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 주요 내용들을 가지고 와 봤습니다. 2017년~2018년 약 2년간 쓴 내용이라 지난 내용이긴 하지만 현재 우울증의 통계를 제외하고는 크게 달라진 점이 없습니다.


2. 우울증의 상황

우울, 우울증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흔히 들어 익숙한 질병 중 하나이다. 우리가 생각해 보고 있는 것보다 우울증은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이며, 질환을 갖고 있는 이들 중에 진단을 받지 않고 참고 견디며 사는 사람들도 있어 통계상으로 보고된 환자 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발표된 통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우울장애를 진단받고 겪고 있는 환자가 2013년에 591,148명에서 2017년 680.169명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보건복지부(2017)에 의하면 전 체인 구의 1.5%에 수준으로 연간 감기 환자 수(2015년 인플루엔자 환자 수, 83만 명)에 버 금 가는 정도이다.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자살률이 인구 10만 명당 25.6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이지희, 2018).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통계에 따르면 2013년 입원 또는 외 래에 방문한 우울증 환자가 591,148명에서 2017년 680,169명으로 증가하였다. 2017년 기준으로 우울증 환자 중 남성이 225,519명, 여성이 454,650명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약 2배가 량 많다. 여러 연령대 중 20대는 2013년 50,948명에서 2017년 76,246명으로 증가 율이 가장 높은 편이다. 현재 2022년에는 코로나라는 특수 상황이 벌어져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가 늘어나거나 수준이 높아졌을 것이라고 예상해 본다.

 

-출처: pixabay.com


3. 우울증의 정의

우울은 슬픔, 공허함, 불행함 등의 부정적 감정을 주요 증상으로 의욕상실, 활동 수준 저 하, 주의 집중 곤란 등의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포함한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의미한다(Beck, 1967).Wikipedia(2017)는 우울(Melancholia)은 슬프고 불행한 감정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우울한 감정이 오래 지속되어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가 되면 우울증(depression)으로 발전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우울장애는 전 세계 1억 명 이상이 앍고 있는 질환이라고 하였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사람들이 보통 즐기는 일상적 활동에 대한 관심의 상실과 지 속적인 슬픈 감정이 있고 2주 이상 일상생활을 처리할 능력이 없는 상태가 이어질 경우’라고 하였다. 권석만(2016)은 우울증은 누구나 삶의 여정에서 빠져들 수 있는 ‘인생의 늪’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심리적 감기’라고 할 만큼 흔한 심리적 문제라고 이야기하였다. 또 한 누구나 인생의 시련기에 경험할 수 있는 심리적 좌절 상태라고 표현하였다.


4. 우울증 진단 기준 Depression

미국 정신의 학회(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2013)에서는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라고 표기하였으며, 증세의 정도와 형 태에 따라 주요 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기 불쾌장애, 파괴적 기분 조절 곤란 장애, 신체적 질병에 의한 우울장애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우울의 증상으로 우울한 기분, 일 성생활에 뚜렷한 흥미 저하, 의도하지 않은 현저한 체중 감소 혹은 증가, 불면이나 과수면, 정신운동성 지체나 초조, 활력 상실 혹은 피로감, 부적절하고 과도한 죄책감 혹은 무가치 감, 사고력 혹은 집중력의 감소, 반복적인 죽음 혹은 자살에 대한 생각이 나타날 수 있다. 주요 우울 장애는 적어도 제시된 9개의 증상 중 5개 이상이 거의 매일 연속적으로 2주 이 상 동안 지속되었을 때 진단된다.


5. 우울증의 원인

권석만(2016)은 우울의 원인을 여러 이론적 측면으로 다양하게 설명하였다. 정신분석이 논에서는 사랑하던 대상의 상실에 대한 반응으로 우울이 나타난다고 보았으며,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사회 환경으로부터 긍정적 강화가 약화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보았다. 생물학 적 이론은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뇌의 특정 부위 손상 또는 코티솔과 같은 호르몬 변화가 원인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인지이론에서는 촉발 사건들을 당위적인 신념을 통해 부정적인 의미로 과장하고 왜곡하기 때문에 우울증이 유발된다고 하였다(Aron Beck, 1976)


5. 우울증 주의점

 우울은 흔하게 경험하기도 하지만, 우울을 경험하는 것이 자살과 같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권석만, 2016; 지연옥, 2017) 있으며 재발 가능성이 높아(권석만, 2016) 심각한 심리적 장애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반응형

댓글